큰 수의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
항하사(恒河沙) : 항하(恒河)는 인도의 갠지스강을 말합니다. 따라서 항하사는 갠지스강의 모래알에 비유한 숫자로 10의 52승. 항하사수(恒河沙數)라고도 합니다. .
아승기 : 산스크리트어 asanga(또는 asamkhya)를 음역한 말로 10의 64승. 승기, 아승기야(阿僧祇耶)라고도 하며, 아증기는 아승기를 잘못 읽은 것입니다. 나유타 : 나유다(那由多) ·나유타(那由) ·나술(那述)이라고도 하며, 10의 60승. 불가사의 : 본래 불교에서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생각할 수 없는 오묘한 이치 또는 가르침을 뜻하며,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놀라운 상태를 일컫기도 합니다. 10의 64승.
무량대수 : 무량수라고도 하며 10의 68승.
작은 수의 단위는다음과 같습니다.
* 할푼리 읽는 법은 아래 별도
** 수의 단위일 때는 "분", 할푼리로 읽을 때는 "푼"
※ 숫자의 단위와 할푼리 읽는 법 숫자의 단위는 위 표와 같습니다. 예컨대 데시미터(dm, 10-1m)는 分米(분미), 센티미터(cm, 10-2m)는 厘米(리미), 밀리미터(mm, 10-3m)는 豪米(호미), 마이크로미터(㎛, 10-6m)는 微米(미미), 옹스트롱(Å, 10-10m)은 埃(애)가 됩니다. 米는 meter라는 뜻입니다.
따라서 숫자 그대로일 때 청정(淸淨)의 값은 10-21입니다.
그런데 소숫점을 읽을 때의 할푼리는 단위가 달라집니다. "분"을 "푼"이라고 읽게 되며, 다른 수들도 전체적으로 1/10 씩 내려갑니다. 그 이유는 1/10 인 할(割)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푼(分)은 10-2, 리(厘)는 10-3, 모(毛)는 10-4, ..., 청정(淸淨)은 10-22이 됩니다.
보충 : 허공, 청정을 위와 같이 하지 않고, 허(10^-20), 공(10^-21), 청(10^-22), 정(10^-23) 처럼 별개로 사용하는 예도 있습니다.
보충(2) : 수의 단위는 현재의 값과 예전에 쓰이던 값이 다릅니다. 예컨대 무량대수가 현재는 10^68 이지만, 예전에는 10^128 이었습니다. 국어사전을 참고하시면 두 값들을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. |
'전공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 설비 설계시공 감리 (0) | 2008.01.28 |
---|---|
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(0) | 2008.01.11 |
[스크랩] 협회 싸이트 (0) | 2007.07.26 |
저장 탱크의 내용적계산 (0) | 2007.07.24 |
관의 호칭 (0) | 2007.07.24 |